본문 바로가기

음식/효능18

헤이즐넛이라 불리는 개암의 효능과 특성 개암이란 열매란? 개암은 대한민국에서도 산과 들에 흔히 자랍니다. 잘 찾으면 서울이나 부산 같은 대도시의 야산에서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개암 열매의 과육 부분은 먹지 않고 속껍데기를 까낸 하얀 알맹이를 먹습니다. 이렇게 먹는 방식은 호두와 동일합니다. 속 껍데기를 깨물면 딱 하는 소리가 의외로 크게 납니다. 흰 속살은 고소하고 달콤하여 산야에서 나는 간식이었습니다. 정월 대보름에 밤, 호두 등과 함께 부럼으로 쓰이기도 하고 개암차로 끓여먹기도 합니다. 개암(헤이즐넛)의 특성 개암나무는 키 높이가 1~2m 정도로 곧게 자라고 가는 줄기가 무더기로 올라오며 줄기껍질은 밝은 회색빛이나 회갈색을 띠며 밋밋합니다. 잎은 길이가 6~12㎝정도이고 끝이 뾰족한 넓은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 2022. 7. 23.
개불의 효능, 생김새, 요리, 먹는 방법 개불이란 무엇인가? 개불은 의충목 개불과에 속하는 환형동물의 일종입니다. 해삼의 일종이며 이전에는 몸에 체절이 없기 때문에 환형동물문과 다른 의충동물문으로 분류했으나 DNA 염기 서열을 이용한 계통 분류학적 분석 결과 환형동물문 하위 강으로 재분류되기도 하였습니다. 환형동물문의 특징인 입주머니(Prostomium)와 비슷한 납작한 주둥이(Flattened proboscis)를 가지고 있습니다. 개불의 생김새 몸길이 10~30cm 정도이며, 조간대 또는 그 아래 지역의 사니질 퇴적물에 U자관을 만들어 살고 있습니다. U자관 내에 개불 외에 다른 공생 생물이 존재하며, 비늘갯지렁이류(Hesperonoe), 속살이게류(Scleroplax), 이매패류(Cryptomya), 망둑어류(Clevelandia) 등이 .. 2022. 4. 28.
복숭아 효능, 제철, 종류, 섭취 시 주의사항 복숭아는 무엇인가? 복숭아나무의 열매로 사과, 배와 더불어서 대표적인 인기 과일입니다. 복숭아의 원산지는 중국이며, 특히 베이징시 근처에서 많이 나는 편입니다. 원래 순우리말 '복셩'이라 불렸으나 언제부턴가 복사꽃을 뜻하는 복셩(花)가 열매까지 뜻하게 되었고 발음이 '복셩화'에서 '복숭아'로 변화하였다고 합니다. 복숭아의 종류는 어떻게 될까? 복숭아의 종류는 껍질에 나는 털의 유무에 따라 크게 털복숭아(유모계)와 천도복숭아(무모계)로 나눠집니다. 털복숭아는 다시 과육 색에 따라 보통 백도(백육종)와 황도(황육종)로 나뉘는데 블러드 복숭아라고 해서 살이 아주 진한 붉은색에 향기가 매우 진한 종도 있습니다. 겉면이 매끈하고 속은 단단한 천도복숭아는 맛이 가장 시고 껍질에 털이 없는 변이종입니다. 우리나라의 .. 2022. 1. 28.
강황 효능 부작용 탈모 먹는법 강황 카레 차이 강황이란 무엇인가? 강황은 생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남아시아의 토종 식물이며, 기온이 20~30도 되며 많은 비가 내리는 곳에서 잘 자랍니다. 뿌리 식물에 속하며 다년생 허브입니다. 카레 등에 넣는 향신료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겨자 같은 향이 나지만 매운맛도 있어 다양한 음식과 잘 어울려 수십 가지 요리 양념으로 사용됩니다. 강황이 노란색인 이유는 강황 속에 풍부하게 든 커큐민(circumin)이라는 알칼로이드 성분 때문으로, 예로부터 아시아에서는 노란색의 천연염료로 쓰였습니다. 오늘날에는 커큐민의 항산화 물질로서의 기능이 발견되어 의학적으로도 연구되고 있는데, 특히 밀크씨슬처럼 간 해독에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울금이 들어간 '우콘노 치카라(ウコンの力)'라는 숙취해소제가.. 2021. 11. 18.
강낭콩 효능 재배 요리 가격 강낭콩이란 무엇인가? 쌍떡잎식물 콩과의 한해살이풀이자 강낭콩 가지에서 나오는 콩 열매의 일종입니다. 아메리카에 분포하며 북아메리카(멕시코), 중앙아메리카(과테말라,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남아메리카(베네수엘라, 볼리비아,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콜롬비아, 페루) 등이 원산지입니다. 또한 서늘한 기후를 좋아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스페인이 필리핀을 점령하면서 명나라에 전해진 걸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기록은 없지만 명나라 때 써진 본초강목에 강낭콩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명나라가 멸망한 후 일본으로 가서 만푸쿠지(萬福寺)를 세운 황벽종 승려 은원(隱元)에 의해 일본에 전해져 인겐마메(いんげんまめ)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대한민국에서는 중국 남부지방에서 전파되어 들어온 것으로 .. 2021. 10. 17.
갓(채소)의 효능, 음식,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갓김치에 들어가는 채소 '갓' 톡 쏘는 매운맛이 특색인 채소입니다. 그냥 먹기도 하나 갓김치로도 많이 담가먹습니다. 한자로는 개채(芥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또한 갓은 십자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입니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삼국시대 때부터 재배해왔기 때문에 친숙한 채소 가운데 하나입니다. 갓은 색깔에 따라 청갓과 적갓으로 구분하는데, 향이 독특하고 약간 매운맛이 있어서 알싸하게 느껴집니다. 갓 채소의 종류와 재배 갓은 서늘한 기후에 잘 자라며, 갓에 따라 잎의 모양이나 색깔이 다른 편입니다. 보통 많이 재배하는 종류는 김치를 담는 돌산갓과 김장의 양념으로 사용하는 청갓, 적갓, 얼청갓입니다. 갓은 봄, 가을로 재배가 가능하지만 김장철이 있는 가을에 재배하는 것이 수월하고 김치를.. 2021. 9. 19.
갑오징어 제철 효능 음식 영양성분 종류 특징 갑오징어의 특징 오징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으로 오늘날에는 오징어를 흔히 갑오징어라고도 하며 여덟 개의 짧은 다리와 두 개의 긴 촉완이 있는데 이 다리들 가운데에 입이 있습니다. 각각의 다리와 촉완에는 딱딱하고 거친 빨판이 나 있습니다. 촉완은 눈 뒤에 있는 주머니 속으로 끌어 넣을 수가 있으며 다리는 물체에 몸을 부착시키거나 게나 물고기 같은 작은 동물을 잡는 데 쓰입니다. 몸에는 갈색의 가로줄무늬와 자주색 반점이 있습니다. 햇빛을 받으면 금속성 광택을 내고 자주 몸 색깔을 바꾸기도 합니다. 몸통은 달걀 모양이며 둘레에는 주름 장식처럼 아가미가 둘러싸고 있습니다. 해면질과 백악질로 되어 있는 갑오징어 뼈라는 내골격이 있는데, 칼슘 성분이 많아 카나리아·앵무새 등 애완용 조류의 먹이나 치약의 원료로.. 2021. 8. 17.
감초 효능 영어로 뜻 부작용 재배방법 감초(Licorice) 향신료에 대해 알아보자 감초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말 그대로 단풀입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에서 주로 쓰는 감초는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종으로 유럽이나 미국에는 우랄 감초, 중국 감초라고 알려졌으며 약재로 주로 쓰이고, 유럽과 미국에서 주로 쓰는 리코리스(Liquorice 또는 licorice)라고 부르는 종은 'Glycyrrhiza glabra L.'이며 한국에서는 민감초 또는 유럽 감초라고 부르며 약재로도 쓰지만 사탕이나 과자 생산에도 많이 쓰입니다. 자주 이 두 가지 종을 두리뭉실하게 감초라고 부르지만 엄밀하게 다른 종이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서양 리코리스는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리큐르의 어원이 되었습니다... 2021.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