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20 유럽, 아시아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는 어디일까? 보통 영어권 국가하면 북아메리카에 위치해 있는 미국과 캐나다를 떠올리곤 합니다. 미국은 독립 후에도 영국계 이민자가 대다수였기 때문에 영어가 제1공용어로 되었습니다. 캐나다는 불어를 사용하는 퀘벡주를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영어를 공용어로 채택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유럽에서 영어를 주로 사용하는 국가는 어디일까요? 유럽에서 영어가 공용어인 국가 영국 : 영국을 영어로 간단히 표현하자면 England입니다. 'English'라는 단어만 보더라도 영국은 영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나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어는 영국의 구성국인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입니다. 아일랜드 : 영국의 바로 왼쪽에 자리 잡고 있는 아일랜드 국가도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일랜드에서는 모국어 게일어가 있지만 그.. 2023. 4. 8. 유효기간 없는 취업 자격증 종류 TOP 11 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공기업이나 대기업에 입사할 때 가지고 있으면 유리한 자격증이며, 또한 공무원 및 각종 취업에 가산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사 자격증은 2020년 6월(47회)부터 기존의 초, 중, 고급 3종을 기본(4~6급)과 심화(1~3급) 2종으로 재개편 하였습니다. 하지만 취업 스펙을 쌓을 때 4~6급은 효용성이 거의 없는 편입니다. 대학입시도 심화(1~3급) 급수여야 효용이 있습니다. 한국사 자격증은 초단기간으로 따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이 날 때 하루 2시간 이상 1~2주 정도 투자하여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컴퓨터활용능력시험 : 사무직에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이라면 꼭 가지고 있어야 할 자격증입니다. 컴퓨터에 관한 정보와 엑셀을 기초로 공부.. 2023. 3. 26. 플라톤 동굴의 비유와 이데아의 세계 250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서양철학에는 수많은 철학자들이 있는데, 그중에서 사상의 체계를 세운 철학자로는 5명을 꼽을 수 있습니다. 고대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중세의 토마스 아퀴나스, 근대의 칸트와 헤겔이 있습니다. 이 다섯 명의 철학자가 아주 저명한 철학자들입니다. 니체나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 같은 유명한 철학자들도 많지만 철학의 체계를 세웠다고 말하기는 어렵고, 결정적으로 등장한 지 아직 100~200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철학에서는 적어도 500~600년 정도의 검증 과정을 거쳐야 인정을 받습니다. 플라톤은 현실세계 말고 또 다른 이데아의 세계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가 '국가'에서 제시한 동굴의 비유로 보겠습니다. 사람들이 사지가 묶여 뒤를 돌아볼 수 조차 없는 상태로 동굴 속에 갇혀.. 2022. 8. 8. 노예 소년의 기하학(feat. 소크라테스 산파술과 상기설) 세계 4대 성인으로 보통 예수, 석가, 소크라테스, 공자 이렇게 4명을 꼽습니다. 이 4대 성인은 글을 쓰지 않았고, 제자들이 그들의 사상과 언행을 기록으로 남겼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술고래이자 토론의 달인이었던 소크라테스 실제로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한복판에 있는 아고라(광장)에서 여러 사람들과 논쟁과 토론을 즐겼다고 합니다. 술을 엄청 마셨는데 한번 마시면 끝이 없었지만 취한 걸 본 사람이 없었다고 합니다. 부인인 크산티페는 악처라고 소문이 나 있었는데, 소크라테스가 돈은 안 벌고 철학을 한답시고 길거리에서 논쟁만 벌이자, 하루는 물바가지를 씌우기도 했답니다. 소크라테스는 제자들에게 좋은 부인을 만나면 행복해질 수 있고, 나쁜 부인을 만나면 철학자가 될 수 있으니 결혼하라고 조언했답니다. 물론 크산티.. 2022. 5. 7. 고르기아스의 극단적 회의주의에 대하여 고르기아스는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 수사학자입니다. 논쟁에서 이기는 법, 대중을 설득하는 기술 등을 가르쳤습니다. 소송에 휘말렸을 때 스스로 알아서 지켜야 했던 고대 그리스에서는 수사학이 매우 중요했습니다. 고르기아스에게 진리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었습니다. 소크라테스는 그를 두고 "진리엔 관심이 없고 오직 대중을 현혹하는 자"라고 비난했습니다. 고르기아스는 진리의 존재 자체를 의심하는 회의주의자였습니다. 회의주의는 크게 종교적 회의주의, 과학적 회의주의, 철학적 회의주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종교적 회의주의는 어떤 신이나 종교도 믿지 않는 입장이고, 과학적 회의주의는 초능력·심령술·미신·수맥·점·굿 등과 같은 의사 과학(사이비 과학)을 믿지 않는 것입니다. 철학적 회의주의는 다소 성격이 다른데, 진리의 .. 2022. 2. 8. 물리주의 철학에 대해 알아보자 모든 것은 물리적이다. 어떤 사람들은 인간에게 영혼이 존재하고, 따라서 인간은 육체와 영혼으로 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입장을 '실체 이원론'이라고 합니다. 반면 어떤 사람들은 실체는 하나라고 합니다. '영혼은 존재하지 않고, 존재하는 것은 오로지 육체일 뿐'이라는 입장도 있고,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영적인 것일 뿐 육체는 허상에 불과하다'는 입장도 있습니다. 이 중에서 존재하는 것은 오로지 육체일 뿐이라는 입장을 물리주의라고 합니다. 물리주의란 간단히 말해서 모든 것은 물리적이라는 주장입니다. 눈앞에 보이는 물질적인 대상들뿐 아니라 영혼, 정신, 생각, 감정 등과 같은 비물질적인 것들도 모두 물리적인 것으로 봅니다. * 실체 이원론 = 육체 + 영혼 * 실체 일원론 = 육체와 영혼 분류 물리주의.. 2021. 11. 25. 우주는 왜 존재하는가? 스티븐 와인버그의 인류원리 인간이 존재하는 이유 - 지구에 왜 지적인 생명체인 인간이 존재할까?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는 약 1억 5,000만 킬로미터인데, 지구가 조금만 더 가까우면 너무 뜨거워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없고, 조금이라도 더 멀면 너무 차가워서 존재할 수 없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지구와 태양이 아주 적절하게 1억 5,000만 킬로미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지구에 지적 생명체인 인간이 생겨날 수 있었습니다. 우주 존재의 이유 인간과 같은 지적 생명체가 출현하기에 딱 좋은 환경을 가진 우주가 존재하는 이유는 도대체 왜일까요? 이런 우주가 존재할 확률은 거의 0퍼센트에 가까운데, 이 질문에 대한 답은 3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신이 지적 생명체가 출현하기에 딱 좋은 환경을 가진 우주를 창조했다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에 확률.. 2021. 11. 21. 앙리 베르그송 - 순수 지속으로서의 시간 앙리 베르그송이란 누구인가? 앙리 베르그송은 프랑스 파리 출생이며, 1927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입니다. 직관으로 파악되는 생명의 순수 지속으로서의 시간을 창조로 보고, 이에 반하여 공간으로 시간을 고정하여 사유하는 과학적 사유를 비판하였습니다. 베르그송의 철학을 한마디로 말하면 지속(durée)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베르그송에 따르면, 생명이 가지고 있는 시간은 '순수 지속'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지속 그 자체는 '직관'을 통해서만 파악된다고 주장합니다. 수학적 시간이나 물리적인 시간은 추상적인 시간이기 때문에 진정한 시간이 아니고, 진정한 시간이란 것은 살아 움직임으로 인해 내적으로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창조의 시간이라는 것입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운동하는 유동체를 분해하고 분.. 2021. 10. 1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