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 뉴스34

매일 이자가 붙는 CMA 금리 비교해보기(최신) 대한민국은 2023년 1월 기점으로 3.50%로 계속하여 금리가 동결되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로 떨어지는 등 물가 상승 압력이 줄어든 데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수출 부진도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해당 동결 사안이 적절하게 채택된 듯합니다. CMA 계좌는 예금자 보호가 가능할까? CMA는 증권사에서 개설할 수 있는 자유 입출금 통장으로 일반 은행과 달리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종금사에서 만든 CMA는 예금자 보호의 대상이지만, 일반적으로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이 우리 종합금융의 CMA Note 등 종류가 많지 않다는 점이 있습니다.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는다고 해서 CMA를 기피할 필요는 크게 없습니다. CMA는 투자하는 대상 및 투자 주체의 특성상 .. 2023. 6. 14.
주식시장 국내, 해외 개장시간, 휴장(쉬는날) 일정표 정리 정말 사고 싶은 주식을 사는 날, 혹은 무조건 주식을 매도해야 되는 날... 이때 주식 프로그램을 열면 주식시장은 가는 날이 장날인 것 마냥 항상 휴장입니다. 국내 주식시장과 해외 주식시장의 휴장 날짜를 알아보고 계획적으로 매수, 매도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우선 국내 시장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주식시장 휴장일 정리] * 2023년 국내 주식 휴장일은 기존 토요일, 일요일 휴일을 제외하여 총 13일입니다. 2023년 국내주식 휴장시간은 총 14일이었지만 하루 줄은 13일입니다. 1. 1월 23일(월) - 설연휴 2. 1월 24일(화) - 설 연휴 3. 3월 1일(수) - 삼일절 4. 5월 1일(월) - 근로자의 날 5. 5월 5일(금) - 어린이날 6. 6월 6일(화) - 현충일 7. 8월 15일(화.. 2023. 2. 2.
[주식, 금융 용어 정리] 가계부실위험지수, 가계지수, 가계순저축률, 가계신용통계, 가계처분가능소득 뜻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 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t R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입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 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합니다. 위험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 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 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위험 .. 2022. 7. 2.
[주식 용어 정리] 수권자본, 수급장세, 수도결제, 순환매매, 스와프, 스태그플레이션 뜻 수권자본(Authorized capital) : 주식회사가 발행할 수 있는 주식총수(株式總數)를 뜻합니다. 주식회사를 설립함에 있어서 자금조달의 편의를 위하여 인가된 자본금의 일부에 대해서만 전액납입(全額納入)의 주식을 발행하고 나머지 미발행 주식은 후일 자금이 필요할 때에 발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정관이나 설립등기에 그 회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자본금의 최고액이 기재되고, 따라서 회사의 설립등기가 끝나면 그와 동시에 그 최고한도액(最高限度額)까지의 주식을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는데, 이 자본금액을 수권자본금(授權資本金)이라 하고 이 제도를 수권 자본제도(授權資本制度)라고 합니다. 수급장세 : 증권, 특히 주식에 대해서 수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시세의 등락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는 상태로서 이론.. 2022. 4. 11.
[주식 용어 정리] 섬머랠리, 성장성 분석, 소속부변경, 소액주주, 손절매 등등 서머랠리(summer rally) : 여름을 뜻하는 서머(summer)와 경주를 뜻하는 랠리(rally)의 합성어로, 매년 초여름인 6월에서 7월까지 한 차례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 여름철 반등장을 가리킵니다. 펀드매니저들이 여름휴가를 떠나기 전에 가을 장세를 기대하고 미리 주식을 사놓고 떠나기 때문에 보통 여름휴가를 앞둔 6~7월께 이런 현상이 나타납니다. 여름휴가가 긴 선진국에서는 흔한 현상으로 미국 증시에서는 지난 1964년 이후 여름철마다 주기적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때문에 여름철에 나타나는 주가 상승을 넓은 의미의 서머랠리라고 부릅니다. 외국의 예에서 보면 서머랠리는 주식 상승기에 더욱 잘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지만, 반대로 시장이 좋지 않을 때는 주식을 팔고 휴가를 떠나려는 사람 때문에 이 반대현.. 2021. 12. 29.
[주식, 금융 용어] 선물, 선물거래와 선도거래 차이, 선물환, 선취매 선물(Futures) :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선매후물(선매매, 후물건 인수도)의 거래방식을 말합니다. 즉,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 파생상품의 한 종류로 선매후물(선매매, 후물건 인수도)의 거래방식을 말합니다. 즉,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 일정 시점에 인도, 인수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선물의 거래방식은 매매 시점, 대금결제, 물건의 인수도 시점에 따라 다른 양식의 거래와 차이가 있습니다. 현물거래의 경우 매매(가격/거래조건의 결정), 대금결제, 물건의 인수도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신용거래(외상거래)의 경우 매매, 물건의 인수도는 동시에 이루어지지만 대금결제는 나중에 이루어집니다. 반면 선.. 2021. 11. 11.
[증권, 주식 용어] 상장, 상투, 상한가와 하한가, 상호주, 상환주식, 선도주 상장(Listing) : 상장이란 주식을 한국거래소에서 매매할 수 있는 품목, 즉 종목으로 지정하는 것을 뜻합니다. 시장에 명패(銘牌)를 내건다는 뜻입니다. 영어로는 'listing'이라고 하면 시세표의 명단에 올린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증권이 거래소에서 매매되면 발행회사의 사회적 평가가 높아져 증자·기채(起債) 등이 용이해지는 등 여러 좋은 점이 있으므로 증권을 발행한 회사는 한국거래소에 상장해 줄 것을 요청하는데, 거래소로서는 공신력을 위하여 좋은 물건만을 골라서 상장하려 하기 때문에 일정한 요건(상장심사기준)을 설정해서 선별하고 있습니다. 국채(國債) 같은 경우에는 거래소가 임의로 상장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 정부에서 상장하도록 명령하기도 합니다. 증권을 상장하려는 회사는 필요한 자료와.. 2021. 10. 10.
[주식, 증권 용어] 블루칩, 빅뱅, 사업보고서, 사채, 사회간접자본(SOC) 뜻 블루칩(Blue Chip) :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하고 배당을 지급해온 수익성과 재무구조가 건전한 기업의 주식으로 대형 우량주를 의미합니다. 주가 수준에 따라 고가 우량주, 중견 우량주, 품귀 우량주 등으로 표현합니다. 이 말은 카지노에서 포커게임에 돈 대신 쓰이는 흰색, 빨간색, 파란색 세 종류의 칩 가운데 가장 가치가 높은 것이 블루칩인 것에서 유래된 표현입니다. 또 미국에서 황소 품평회를 할 때 우량등급으로 판정된 소에게 파란 천을 둘러주는 관습에서 비롯됐다는 설도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에서 강세장을 상징하는 심벌이 황소이기 때문입니다. 우량주의 기준이 명확히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시가총액이 크고, 성장성·수익성·안정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각 업종을 대표하는 회사의 주식을 .. 2021.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