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사고 싶은 주식을 사는 날, 혹은 무조건 주식을 매도해야 되는 날... 이때 주식 프로그램을 열면 주식시장은 가는 날이 장날인 것 마냥 항상 휴장입니다. 국내 주식시장과 해외 주식시장의 휴장 날짜를 알아보고 계획적으로 매수, 매도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우선 국내 시장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주식시장 휴장일 정리]
* 2023년 국내 주식 휴장일은 기존 토요일, 일요일 휴일을 제외하여 총 13일입니다.
2023년 국내주식 휴장시간은 총 14일이었지만 하루 줄은 13일입니다.
1. 1월 23일(월) - 설연휴
2. 1월 24일(화) - 설 연휴
3. 3월 1일(수) - 삼일절
4. 5월 1일(월) - 근로자의 날
5. 5월 5일(금) - 어린이날
6. 6월 6일(화) - 현충일
7. 8월 15일(화) - 광복절
8. 9월 28일(목) - 추석
9. 9월 29일(금) - 추석
10. 10월 3일(화) - 개천절
11. 10월 9일(월) - 한글날
* 2023년 11월 수능일은 11월 16일 목요일이며 이때 증시는 오전 10시에 개장합니다.
12. 12월 25일(월) - 크리스마스
13. 12월 29일(금) - 휴장일
* 참고로 2023년 12월 28일(목)은 폐장일(마지막 거래할 수 있는 날)입니다.
* 또한 2023년 4월 5일에는 상반기 재보궐선거, 10월 11일에는 하반기 재보궐선거가 있지만 휴장이 아닙니다.
[해외 주식시장 휴장일 정리]
1. 1월 2일(월) - 신정
2. 1월 16일(월) - 마틴루터킹 데이
3. 2월 20일(월) - 워싱턴 기념일
4. 4월 7일(금) - 부활절
5. 5월 29일(월) - 현충일
6. 6월 19일(월) - 준틴스데이
7. 7월 3일(월) - 독립기념일(조기종료) : 현지시간 13시 종료(한국시간 : 익일 03시)
8. 7월 4일(화) - 독립기념일(완전 휴장)
9. 9월 4일(월) - 근로자의 날
10. 10월 10일(화) - 콜럼버스데이(결제만 불가)
11. 11월 10일(금) - 재향군인의 날(결제만 불가)
12. 11월 23일(목) - 추수감사절
13. 11월 24일(금) - 추수감사절(조기종료) : 현지시간 13시 종료(한국시간 : 익일 03시)
14. 12월 25일(월) - 크리스마스
* 변경될 확률은 아주 적지만 주식 운영 일정은 현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주식 연말 마지막 날에 쉬는 이유는 뭘까?
시장조치 확인이나 전산시스템 점검 등은 사실 IT 발달과 함께 굳이 하루를 쉬지 않아도 야간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하루 쉬는 것은 예전부터 있던 연말 휴장 관례에 따른 것이라는 게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
'금융 > 정보,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 이자가 붙는 CMA 금리 비교해보기(최신) (0) | 2023.06.14 |
---|---|
[주식, 금융 용어 정리] 가계부실위험지수, 가계지수, 가계순저축률, 가계신용통계, 가계처분가능소득 뜻 (0) | 2022.07.02 |
[주식 용어 정리] 수권자본, 수급장세, 수도결제, 순환매매, 스와프, 스태그플레이션 뜻 (0) | 2022.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