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67

매달 50만원 넣고 노후 편안하게 보내기(ACE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ACE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 - ACE 미국배당 다우존스 ETF는 "한국판 SC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라고 불립니다. - 2021년 10월에 상장되어 약 2년간 안정적으로 운용되었습니다. - 이 ETF는 주가 상승률이 연간 2.9%이며, 분배금은 연 3% 수준입니다. 투자 시뮬레이션 - 매달 50만 원을 투자했을 때, 20년 후에는 약 5억 3700만 원의 은퇴 자금이 예상됩니다. - 이는 원금 1억 2000만 원과 비교해 수익이 4억 1700만 원으로, 원금의 3배 넘게 됩니다. - 20년 후에는 매달 최대 168만 원의 분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 전략 - 이 ETF는 기업의 펀더멘탈, 배당의 연속성, 배당수익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종목을 선정합니다... 2023. 8. 28.
매일 이자가 붙는 CMA 금리 비교해보기(최신) 대한민국은 2023년 1월 기점으로 3.50%로 계속하여 금리가 동결되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4개월 만에 3%대로 떨어지는 등 물가 상승 압력이 줄어든 데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수출 부진도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해당 동결 사안이 적절하게 채택된 듯합니다. CMA 계좌는 예금자 보호가 가능할까? CMA는 증권사에서 개설할 수 있는 자유 입출금 통장으로 일반 은행과 달리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종금사에서 만든 CMA는 예금자 보호의 대상이지만, 일반적으로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이 우리 종합금융의 CMA Note 등 종류가 많지 않다는 점이 있습니다. 예금자 보호가 되지 않는다고 해서 CMA를 기피할 필요는 크게 없습니다. CMA는 투자하는 대상 및 투자 주체의 특성상 .. 2023. 6. 14.
주식시장 국내, 해외 개장시간, 휴장(쉬는날) 일정표 정리 정말 사고 싶은 주식을 사는 날, 혹은 무조건 주식을 매도해야 되는 날... 이때 주식 프로그램을 열면 주식시장은 가는 날이 장날인 것 마냥 항상 휴장입니다. 국내 주식시장과 해외 주식시장의 휴장 날짜를 알아보고 계획적으로 매수, 매도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우선 국내 시장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국내 주식시장 휴장일 정리] * 2023년 국내 주식 휴장일은 기존 토요일, 일요일 휴일을 제외하여 총 13일입니다. 2023년 국내주식 휴장시간은 총 14일이었지만 하루 줄은 13일입니다. 1. 1월 23일(월) - 설연휴 2. 1월 24일(화) - 설 연휴 3. 3월 1일(수) - 삼일절 4. 5월 1일(월) - 근로자의 날 5. 5월 5일(금) - 어린이날 6. 6월 6일(화) - 현충일 7. 8월 15일(화.. 2023. 2. 2.
나스닥 2배 레버리지 ETF, QLD(ProShares Ultra QQQ) QLD(ProShares Ultra QQQ) ETF에 대하여 이 펀드는 ProShare Advisors가 조합하여 펀드의 투자 목표와 일치하는 일일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고 믿는 금융상품에 투자합니다. 이 지수에는 시가총액 기준으로 나스닥 증시에 상장된 국내외 최대 비금융사 100곳이 포함됩니다. 그 펀드는 분산되지 않습니다. QLD는 나스닥에 상장된 100개의 대형 비금융 주식의 수정된 시가총액 가중 지수에 대한 2배의 레버리지 투자를 제공합니다. QLD 주식 데이터 분석 QLD는 레버리지 상품이며, 매입 및 보유 ETF가 아닙니다. 그 기금은 단기적인 전술적 수단으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많은 레버리지 펀드와 마찬가지로 하루 보유 기간 동안에만 2배의 익스포저를 제공합니다. QLD가 하루 이상의 지수 .. 2022. 7. 7.
[주식, 금융 용어 정리] 가계부실위험지수, 가계지수, 가계순저축률, 가계신용통계, 가계처분가능소득 뜻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 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t R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입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 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합니다. 위험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 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 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다만 위험 .. 2022. 7. 2.
아마존의 반품 문제 과연 해결 가능한 문제일까? 아마존의 반품 문제 아마존이 지구와 환경에 엄청난 문제를 야기하며 빠르게 증가하는 반품 문제를 처리해야 된다는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전국 소매 연맹(National Retail Federation)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서 2021년에 기록적인 7610억 달러(약 935조 8778억 원) 어치의 상품이 소매업체에 반품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국이 2021년 국방비로 지출한 7410억 달러(약 910조 520억 원)를 넘어선 규모입니다. 2021년 미국 소매 연맹이 조사한 바로는 특히 연말 동안 판매된 상품의 반품률이 높아 판매된 상품의 16.6%가 반품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전년도보다 56% 이상 증가한 수치다. 온라인 구매의 경우 평균 반품률은 2020년의 18% 에서 거의 21%로.. 2022. 4. 13.
[주식 용어 정리] 수권자본, 수급장세, 수도결제, 순환매매, 스와프, 스태그플레이션 뜻 수권자본(Authorized capital) : 주식회사가 발행할 수 있는 주식총수(株式總數)를 뜻합니다. 주식회사를 설립함에 있어서 자금조달의 편의를 위하여 인가된 자본금의 일부에 대해서만 전액납입(全額納入)의 주식을 발행하고 나머지 미발행 주식은 후일 자금이 필요할 때에 발행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정관이나 설립등기에 그 회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자본금의 최고액이 기재되고, 따라서 회사의 설립등기가 끝나면 그와 동시에 그 최고한도액(最高限度額)까지의 주식을 발행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는데, 이 자본금액을 수권자본금(授權資本金)이라 하고 이 제도를 수권 자본제도(授權資本制度)라고 합니다. 수급장세 : 증권, 특히 주식에 대해서 수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시세의 등락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는 상태로서 이론.. 2022. 4. 11.
미국 주식, 왜 시작해야 되는 것일까? 주식투자는 도박인가? 주식투자는 사기인가? 해외주식 투자의 인기는 떨어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주식이라곤 관심도 없던 사람들이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테슬라 주식을 샀다고 자랑하고, 주변 친구들 또한 매달 미국 기업들로부터 월세처럼 달러 배당금을 꼬박꼬박 받고 있다고 합니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주식투자'로 이야기를 꺼내면 '도박'이나 '사기'같은 부정적인 단어가 먼저 나오고, '주식 잘못하다 패가망신한다'라는 이야기도 빠지지 않습니다. 한편, 투자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지닌 지인들에게 주식에 관한 이야기를 꺼내려하면 어디서 들었다는 고급 정보나 급등주, 테마주에 대한 썰이 줄줄 나옵니다. 이런 우리나라에서도 해외주식, 특히 미국 주식 투자는 조금 다르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 같습.. 2022.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