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엑셀34 엑셀 한자를 쉽게 입력하는 방법, 엑셀 번역 기능 사용하기 엑셀에서 한자 입력 방법 글자를 쓰고 한/영 키를 눌러 한자 변환 - 단어를 입력하면서 간단하게 바로 한자 변환을 하려는 경우 유용하며, 한글 입력 후 한/영 혹은 한자를 부르면 한자 선택 목록이 표시되고 여기에서 원하는 한자를 선택하면 한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한글/한자 변환 기능 사용해보기 이 기능은 여러 값을 동시에 한자로 변환하려는 경우에 유용합니다. 1. 한자로 변환할 한글이 입력될 범위를 선택합니다. 2. 리본 메뉴의 [검토] 탭 - [언어] 그룹 - [한글/한자 변환]을 클릭합니다. 3. [한글/한자 변환]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입력된 한글에 맞는 한자를 선택하고 [변환]을 클릭합니다. 4. 모든 단어가 한글에서 한자로 변환되는 것을 확인합니다. * 한자 선택 : 리스트에서 변환하려는 한.. 2022. 7. 10. 엑셀 날짜 데이터 인식하는 방법(엑셀 1-1, 1/4) 엑셀에서 날짜 데이터를 인식하는 방법 엑셀은 하이픈(-)이나 슬래시(/)를 숫자와 함께 입력하면 날짜로 입력한다고 인식합니다. 이 두문자가 날짜 데이터를 구분하는 구분 기호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하이픈(-)이나 슬래시(/)를 숫자와 함께 입력하려는 경우에는 입력 방법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이픈이 포함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 1-1과 같은 값을 입력하고 싶다면 작은따옴표(')를 먼저 입력하고 1-1을 입력합니다. 위의 이미지를 참고하여 '1-1을 입력합니다. 날짜로 변환된 데이터를 하이픈 값으로 변환하는 방법 이미 날짜로 변환했다면 수식을 사용하여 원래 하이픈이 포함된 값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TEXT(A1, "m-d" 엑셀 분수를 입력하는 방법 분수를 입력하려면 대분수 방식으로 .. 2022. 4. 16. 엑셀 날짜나 시간을 입력하면 숫자가 표시되는 이유 엑셀에서 날짜와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 엑셀에서 날짜는 '날짜 일련번호'라고 부릅니다. 날짜를 계산하는 방법은 생각보다 복잡하므로, 엑셀은 1900/1/1부터 9999/12/31까지의 날짜를 미리 계산해놓고 숫자로 매칭해 사용합니다. 정확하게는 1900/1/1을 1로 저장하고 하루가 지날 때마다 1씩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날짜를 관리합니다. 위의 이미지를 참조하시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엑셀에서 1은 '1900년 1월 1일' 또는 '하루'를 의미하기 때문에 시간은 1(하루)을 24(시간)로 나눈 소수 값으로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오후 12시는 정확하게 하루의 절반이므로 12/24로 나눈 값(0.5)이 됩니다. 그러므로 날짜와 시간은 기본적으로 숫자 값입니다. 엑셀은 사용자가 입력한 날짜 형식(yyyy-mm-.. 2022. 1. 10. 엑셀 숫자 앞에 0을 001과 같이 표시하는 방법 엑셀에서 숫자 데이터는 앞에 0이 먼저 나올 수 없다. 간혹 숫자를 입력할 때 앞에 0을 표시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01, 001은 모두 1이므로 001과 같이 입력해도 셀에는 1로 저장됩니다. 0을 표시해야 한다면? 숫자 데이터를 그대로 사용하려면 셀 서식을 이용해야 합니다. 가장 권장하는 방법으로, 셀 서식을 사용해 숫자 앞에 0이 표시되도록 합니다. 1. 엑셀 파일을 열고 원하는 범위를 선택합니다. 2. Ctrl + 1을 눌러 [셀 서식] 대화 상자를 불러옵니다. 3. [표시 형식] 탭을 선택하고 [범주] 항목에서 [사용자 지정]을 선택합니다. 4. [형식]에 0을 원하는 자릿수만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3자리 숫자로 표시하려면 0을 3회 입력합니다. 5. [확인]을 눌러 대화 상자를 .. 2021. 11. 14. 엑셀 10억 단위 표시하는 방법(100억, 1000억 등) 지수 표현식 이용하여 입력하기 지수 표현식은 10의 제곱으로 숫자를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1억은 10의 8승(제곱)이므로, 지수 표현식으로 나타내면 1E+8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지수 표현식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입력 원 단위로 입력 지수 표현식으로 입력 1억 100,000,000 1E+8 10억 1,000,000,000 10E+8 또는 1E+9 100억 10,000,000,000 100E+8 또는 1E+10 1. 새로운 엑셀 화면을 만들어 1억, 10억, 100억 입력한 후 그 옆에 1E+8, 10E+8, 100E+8 값을 입력합니다. 2. 리본 메뉴의 [홈] 탭 - [표시 형식] 그룹 - [쉼표 스타일]을 클릭하면 입력된 숫자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정 소수점 기능을 이용.. 2021. 10. 13. 엑셀 실행 취소와 다시 실행, 반복 실행 하는법 실행 취소(Ctrl + Z) 실행 취소는 작업한 내용을 단계별로 기억하며 [실행 취소 버튼]을 클릭했을 때 1단계씩 바로 전에 실행한 작업을 취소합니다. 엑셀 2003은 16단계까지, 엑셀 2007 버전 이상은 100단계까지 작업을 기억합니다. 또한 엑셀 2007 버전 이상에서는 파일을 저장해도 닫지만 않는다면 저장 전으로 실행 취소할 수 있습니다. 1. 빈 통합 문서에 A1~A5 범위에 순서대로 1~5까지 입력합니다. 2. A1~A5 범위를 복사(Ctrl + C)하고 C1 셀을 클릭한 후 붙여 넣기(Ctrl + V) 합니다. 3. [빠른 실행] 도구 모음의 [실행 취소 버튼]의 아래 화살표를 클릭하면 작업한 내역이 목록에 표시됩니다. 4. Ctrl + Z 단축키를 누르거나 실행 취소 목록 내 [붙여 넣.. 2021. 9. 14. 엑셀 병합 풀기와 빈 셀에 모든 값 채워 넣기 병합된 셀을 풀고 빈 셀에 동일한 값을 채워 넣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병합 해제하고 빈 셀을 모두 선택한 후 수식을 사용해 값을 채워 넣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병합 해제하기 이미 병합이 되어 있는 파일을 준비합니다. 병합을 해제하려면 해당 범위를 선택하고 리본 메뉴의 [홈] 탭 - [맞춤] 그룹 -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명령을 클릭하면 병합이 해제됩니다. 이동 명령으로 빈 셀 위치 선택하기 병합이 해제된 전체 범위에서 빈 셀만 빠르게 선택하기 위해 아래의 과정을 참고합니다. 1. 이동 명령으로 빈 셀 위치 선택할 범위를 선택합니다. 2. 리본 메뉴의 [홈] 탭 - [편집] 그룹 - [찾기 및 선택] 명령을 클릭하고 [이동 옵션]을 클릭합니다. * 이 방법은 F5를 누르고 [.. 2021. 8. 14. 엑셀 병합 활용하기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하기 셀은 열과 행에 종속되므로, 하나의 열에 서로 다른 너비를 갖는 셀을 표시할 수 없습니다. 이런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기능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명령은 리본 메뉴의 [홈] 탭에서 [맞춤] 그룹에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는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한 것과 병합하지 않은 경우를 예시로 나타냅니다. [A1]과 [B1]은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을 하였으며 [C1]과 [D1]은 병합하지 않았습니다. 병합하지 않고 선택 범위의 가운데 표시하는 방법 병합을 사용하면 표를 보기 좋게 표시할 수 있지만, 아쉽게도 엑셀의 기능을 100% 활용할 수 없습니다. 여러 셀의 가운데에 값을 표시할 목적으로만 병합을 사용하고 싶다면 [셀 서식] 대화 상자에서 [선택 .. 2021. 7. 23.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