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세계사65 19세기: 민족주의의 강화와 제국의 변화 민족주의와 국가 형성: 강화되는 민족주의와 약화되는 제국의 지배 19세기에는 민족의식이 성장하면서 거주 지역에 따른 민족의 구분을 다른 모든 가치들보다 우위에 두는 민족주의가 탄생했습니다. 민족주의가 싹트려면 더 강한 국가, 통신 수단의 발달, 전국적인 교육 체계, 문맹 퇴치, 산업화, 도시화, 민주화가 선행돼야 했으며 그중에서도 중대한 사상적·지적 변화도 필요했습니다. 민족주의에는 상징적 측면이 있었습니다. 고국, 모국, 조국 같은 개념에 대한 신념이 커지면서 민족주의는 점점 더 강해지는 반면 지역성 같은 선택적 신념은 약화되었습니다. 그리고 민족주의는 전 세계적으로 남성 선거권이 부상하는 등의 발달을 수용함으로써 집단의 논리에 관한 새로운 근거를 제공했습니다. 게다가 새롭고 혁명적인 민족주의적 사상이.. 2023. 7. 7. 통신 혁명: 모스 부호부터 전화까지의 역사 철도와 전신: 정보의 급속한 전파 미국인 새뮤얼 모스가 전신이라는 신기술을 이용해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조작키와 코드를 개발했는데 이것이 바로 모스 부호입니다. 1838년 그는 점과 대시 기호로 이뤄진 그의 코드를 사용해 분당 10개의 단어를 전송할 수 있었습니다. 1843년에는 의회를 설득해 워싱턴에서 볼티모어까지 전신선을 설치하기 위한 예산을 확보했습니다. 영국에서 전기 전신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철도 네트워크상의 열차에 대한 정보를 민간 기업들이 전송하는 데 사용되다 차후 일반 대중에 개방되면서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덕분에 경제 등 다양한 뉴스가 빠르게 퍼져나갔습니다. 최근 당시의 국제전신 체계가 현대의 인터넷처럼 작동했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하지만 전신 체계의 신뢰성, 전송 속.. 2023. 7. 7. 증기기관에서 철도까지, 산업혁명의 에너지 혁신 산업혁명의 에너지 혁신, 증기기관의 역할 증기기관은 새로운 세계의 강력한 상징으로, 풍요로운 석탄 자원과 기업가 정신을 갖춘 영국에서 개발되었습니다. 1698년 토머스 세이버리가 시연한 증기 펌프는 실용적이지 못했지만 1712년 토머스 뉴커먼이 발명한 대기 엔진은 달랐습니다. 제임스와트는 기관의 연료 효율을 크게 높이는 별도의 증기 응축기를 발명했으며, 1776년에는 그의 첫 실치수 증기 기관이 설치되었습니다. 1779년 버밍엄의 단추 제조업자였던 제임스 피커드는 뉴커먼 기관에 크랭크와 플라이휠을 장착해 증기력으로 금속 분쇄기를 작동시켰습니다. 이 같은 혁신으로 와트가 주도하던 증기기관 시장이 크게 확대되었고, 1790년 발명된 그의 휠 버진 증기기관은 말 953마리와 같은 힘을 냈습니다. 진보한 증기기.. 2023. 7. 6. 세상을 바꾼 물건, 석탄 이야기 세계 석탄 시장 지배: 19세기 영국의 석탄 사업 운반과 제어가 손쉬운 연료, 석탄은 이전까지의 나무나 목탄보다 발열량이 더 높은 에너지원이었습니다. 게다가 새 시대의 아이콘이라 할 수 있는 증기 엔진을 움직이는 연료이기도 했습니다. 훗날 미국 대통령이 된 토머스 제퍼슨은 1786년 런던을 방문했을 때 증기로 가동되는 밀가루 공장 뉴알비온제분소를 둘러보았습니다. 영국은 이 같은 생산과 가동 방식을 주도했습니다. 1820~24년 석탄과 갈탄의 연평균 생산량은 영국이 1800만 미터톤이었는데 유럽의 다른 주요 산업국 프랑스, 독일, 벨기에, 러시아를 모두 합쳐도 200만 미터톤에 불과했습니다. 1855~59년에도 각각 6800만 미터톤과 3200만 미터톤이었습니다. 1830년 윌리엄 코벳은 영국 북부 지역에.. 2023. 7. 6. 산업혁명, 증기 동력과 사회의 변화에 대하여 산업혁명: 농업 중심 사회에서 산업화 시대로의 전환 19세기 이전, 세계는 주로 농업 중심의 사회였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농부였으며, 기술의 발달은 느렸고 사회 변화는 완만했습니다. 대부분의 상품은 수공예로 만들어졌으며, 그런 상품들은 종종 작업자의 개인적인 기술이나 역량에 의존했습니다. 이런 방식의 생산은 대량 생산에는 매우 부적합했습니다. 또한, 이 시기의 운송은 비효율적이고 느렸습니다. 도로와 물길을 통한 운송이 주를 이루었으며, 짐을 나르는 말이나 나귀, 인간의 힘을 주로 이용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상품을 원거리로 옮기는 것이 어려웠고, 그로 인해 시장은 대체로 지역적으로 제한되어 있었습니다. 19세기에는 선진 사회의 산업 잠재력에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증기 동력의 응용으로 생산과 .. 2023. 7. 6. 미국의 원주민 정책과 서부 영토 확장 미국 정부의 원주민 관리 정책: 보호구역과 정착촌 건설 축복받은 자연환경의 미국에서 땅과 광물을 차지하는 데 혈안이 된 미국인들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에 대한 지배를 확대하려 했습니다. 1876년 조지 커스터 장군이 수적으로 열세한 수우족과 성급하게 맞붙은 리틀빅혼 전투를 포함해 미군이 패배한 적도 몇 번 있었지만 대부분은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패배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원주민들은 천연두에 시달리고, 심각한 가뭄으로 들소 사육에도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미국 정부군 역시 농작물과 마을을 파괴했습니다. 미국 정규군의 화력과 기동력, 그리고 겨울에도 끄떡없는 전투력은 미국의 승리에 결정적 역할을 했습니다. 미군은 원주민들을 황량한 인디언 보호구역으로 몰아넣었고, 정착촌과 철도를 건설함으로써 서부의 경제 통합을 지원.. 2023. 7. 6. 전쟁과 통합, 미국 남북전쟁의 역사적 전환과 국가 발전 남북 대립과 분리 독립 선언: 미국의 대중 민주주의 위기 노예제도는 미국의 운명을 결정 지은 중대한 문제였습니다. 아직 미국의 주로 승인되지 않은 새로운 지역에 노예제가 확산되는 걸 막고자 했던 에이브러햄 링컨이 1860년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남부가 분리 독립을 선언합니다. 링컨과 공화당은 연합정부야말로 미국의 생존에 필수이며, 미국이라는 국가를 위해서는 각 주 위에 연방정부가 군림하는 형태가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정당들은 더 이상 별다른 역할을 해내지 못했고 미국의 대중 민주주의도 위기였습니다. 노예제에 관한 타협안 역시 남북간에 합의를 이끌어내기는 불가능해 보였습니다. 1861년 4월 남부 연합국이 찰스턴항 요새에 주둔한 연방군을 폭격하면서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전쟁의 신속한 종결을 바.. 2023. 7. 6. 19세기 아메리카에서의 노예제 폐지와 계약 노동의 연속성 노예제 폐지의 긴 여정 1800년 브라질과 카리브해, 미국 남부를 필두로 한 아메리카 대륙에는 대규모 노예경제가 존재했습니다. 19세기 초, 기독교 복음주의의 전파로 인해 노예제를 종식하자는 노예제 폐지론이 대세로 등극했습니다. 결국 1807년 영국이 노예무역을 종식시켰고, 이후 노예제가 1838년 영국 식민지에서 폐지된 것을 시작으로 1848년에는 프랑스 식민지에서, 1865년에는 미국에서, 그리고 1888년에는 노예를 가장 많이 부린 브라질에서도 폐지되었습니다. 미국 전역에 공급됐던 노예 수를 모두 합친 것보다 10배나 더 많은 노예들이 리우데자네이루에 공급된 바 있습니다. 노예제 폐지 후의 노동 조건: 종속과 차별 노예제 폐지 후 사회는 크게 바뀌었습니다. 영국 서인도 제도에서는 많은 노예들이 자신.. 2023. 7. 6. 이전 1 2 3 4 5 6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