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우리나라 문화유산51

국보 4호, 여주 고달사지 승탑에 대해 알아보자 여주 고달사지 승탑이란? 여주 고달사지 승탑은 경기도 여주시 고달사 터에 있는, 고려시대 초기의 화강석제 부도입니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높이는 3.4m이며, 8각 원당형(圓堂形) 부도 중에서 매우 뛰어난 거작입니다. 조형 양식이 신라의 기본형을 따르면서 세부적인 면에서는 고려시대의 분위기를 강하게 풍기고 있습니다. 신라 말의 고승 원감 대사의 묘탑이라고도 하지만 확실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 절터에 남아 있는 원종대사의 묘탑인 고달사 원종대사 혜진탑보다는 앞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여주 고달사지 승탑 세부사항 높이는 3.4m이며 국보 제4호입니다. 기단부·탑신부·옥개석 등을 모두 갖춘 전형적인 팔각 원당형 승탑이나 상륜부는 완전하지 못합니다. 기단은 수.. 2021. 7. 10.
국보 3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에 대하여 신라 제24대 국왕인 진흥왕(재위 540~576)이 북한산에 세운 비로써, 국보 3호입니다. 이 비의 성격은 첫머리에 '순수(巡狩)'라는 표현이 있어, 진흥왕이 한강유역을 순수한 것을 기념하여 세운 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원래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구기리(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 비봉(碑峰)에 있었으나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 고대관 신라실에서 전시하고 있습니다. 진흥왕 순수비의 역사 학자에 따라 신라 진흥왕 16년(555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는 학자도 있는 반면, 비에 남천주란 지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568년 이후에 비를 세운 것으로 보기도 합니다. 비신 높이가 1.54m, 너비가 0.69m, 두께가 0.16m입니다. 진흥왕이 새로 공략한 국.. 2021. 6. 19.
대한민국 국보 2호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이란?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탑골 공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석탑으로 대한민국의 국보 제2호입니다. 석탑은 1467년(세조 13년)에 세워졌으며 3층의 기단과 10층의 탑신으로 되어 있고, 인물과 화초 무늬 따위가 양각되어 있습니다. 맨 위 3층은 오랫동안 무너져 내려져 있던 것을 1947년에 원상태로 복구하였습니다. 부식 이유는 새똥이라는데 웃지 못할 사항인 것 같습니다. 2000년에는 표면 훼손이 심각하여 유리 보호각을 씌워 놓은 상태입니다. 원각사는 지금의 탑골공원 자리에 있었던 절로, 조선 세조 11년(1465)에 세웠습니다. 조선시대의 숭유억불정책 속에서도 중요한 사찰로 보호되어 오다가 1504년 연산군이 이 절을 ‘연방원’이라는 이름의 기생집으로 만들어 .. 2021. 5. 31.
우리나라 국보 1호, '숭례문'의 진실 숭례문이란 무엇인가? 숭례문(崇禮門) 또는 서울 숭례문은 조선의 수도였던 한양의 4 대문 중 하나로 남쪽의 대문입니다. 흔히 남대문이라고도 부르는데, 이것은 일제강점기 시절에 일본이 붙인 명칭이라는 말도 있습니다.(아래 '숭례문과 남대문, 명칭 문제'에서 자세히 언급) 서울 4 대문 및 보신각의 이름은 오행사상을 따라 지어졌는데, 이런 명칭은 인(동), 의(서), 례(남), 지(북), 신(중앙)의 5 덕을 표현한 것이었으며, 숭례문의 '례'는 여기서 유래한 것입니다. 숭례문의 편액은 '지봉유설'에 따르면 '양녕대군'이 썼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설이 많습니다. 1396년(태조 5년)에 최유경이 축성하였습니다. 1447년(세종 29년)과 1479년(성종 10년) 고쳐지어 졌습니다. 2006년 3월 3일, 숭례.. 2021. 5. 1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2회 고급 해설, 정답(41~50문제) (경성부 관내, 임시 토지 조사국, '만일 제출하지 않는다면 후회가 없지 않을 것' - 토지조사사업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1. 총독부의 지세 수입이 늘어났다. - 토지조사사업 이후 지세령을 선포하여 토지를 소유한 사람에게는 토지세를 더욱 많이 걷어갔습니다. 2. 소작농의 관습적 경작권이 부정되었다. - 당시 토지조사사업의 대상은 지주의 따만 인정해주었습니다. 3. 식량 사정이 악화되어 배급제가 실시되었다. - 1939년 식량배급계획요강이 시초로 2차 세계대전 이후 물자의 부족으로 인해 실시하였습니다. - 정답 4. 한국으로의 일본인 농업 이민이 촉진되었다. - 당시 토지조사사업으로 획득한 토지를 일본인들에게 싸게 팔아 많은 일본인이 당시 한국으로 이주하였습니다. 5. 동양 척식 주식회사 소유의 농지가 .. 2021. 4.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2회 고급 해설, 정답(31~40문제) (황준현의 조선책략을 보니 머릿 털이 쭈뼛쭈뼛해지고, 우리가 평소에 잘 모르던 나라입니다. - 조선시대 미국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1.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여 러시아를 견제하였다. - 영국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2. 저탄소 설치를 위해 절영도 조차를 요구하였다. - 러시아와 관련된 사실로 독립협회에 의해 저지되었습니다. 3. 강화읍을 점령하고 외규장각 도서를 약탈하였다. - 프랑스와 관련된 사실입니다. 4. 윤오호 사건을 빌미로 불평등 조약을 강요하였다. - 일본과 관련된 사실입니다. 5. 제너럴 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통상을 요구하였다. - 1866년에 침입하여, 결국 배가 불타자 이후 신미양요를 일으킨 것입니다. - 정답 정답 : 5번 (쓰시마 섬, 전라북도 태인 - 최익현의 을사 의병과 관련된 문제.. 2021. 3. 2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2회 고급 해설, 정답(21~30문제) (누르하치, 명이 만일 토벌을 나간다면 - 광해군의 중립 외교와 관련된 문제입니다.) 1. 임진왜란의 발발 원인을 분석한다. - 당시 에도 막부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진출 야욕이 목적이었으므로 관련 없는 내용입니다. 2. 기유약조가 체결된 계기를 찾아본다. - 임진왜란 이후 일본과의 국교 재개로 이 내용과 관련 없습니다. 3. 조선 통신사의 활동 내용을 살펴본다. - 임진왜란 이후 일본과의 외교 활동과 연관이 있습니다. 4. 광해군이 중립 외교를 추진한 배경을 알아본다. - 정답 5. 정도전이 요동 정벌을 주장한 근거를 조사한다. - 조선 초기의 내용으로, 고려 말기에는 최영이 이를 주도했습니다. 조선 건국 이후에 정도전이 이를 주장한 것입니다. 정답 : 4번 (보기의 이미지, 1794년, 정약용,.. 2021. 3. 1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2회 고급 해설, 정답 (11~20문제) (두 봉기 사건의 공통점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첫 번째 사건 : 명학소, 망이·망소이 - 망이·망소이의 난(1176년) 두 번째 사건 : 김사미와 효심, 운문 - 김사미와 효심의 난(1193년) 1. 신라 부흥을 내세웠다. - 김사미와 효심의 반란만 해당합니다. 2. 무신 집권기에 발생하였다. - 두 민란은 모두 대표적인 무신정권에 대한 불만에서 표출된 것입니다. - 정답 3. 몽골의 침입에 항거하여 일어났다. - 김윤후의 처인성 방어가 그러했습니다. 4. 원 간섭기 권문세족의 수탈에 저항하였다. - 공민왕과 신돈의 업적이 있습니다. 5. 임술 농민 봉기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으로 발생한 것입니다. 정답 : 2번 (당에 유학, 빈공과에 급제, 토황소격문, 시무책 10여 조.. 2021. 2. 28.